본문 바로가기

Back-End/NodeJS9

[ NodeJS ] API * 해당 포스터는 생활코딩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 [ API ] API (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) : 어플리케이션을 프로그래밍 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* 인터페이스 : 개발자들과 사용자들의 약속된 조작 장치 웹 어플리케이션은 NodeJS가 가지고 있는 기능들을 호출함으로써 동작하게 된다. 즉 인터페이스를 실행시킴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게 된다. 1. http.createServer([requestListener]) : 웹 서버를 생성 * requestListener는 함수이다. *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가 서로 통신할 대 사용하는 통신 규칙 → http는 모듈이면서 객체이기도함 외부에서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웹 서버는 첫번째 인자에.. 2021. 8. 12.
[ NodeJS ] 모듈 * 해당 포스터는 생활코딩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 모듈 : 많은 객체, 함수 등을 정리할 수 있는 더 큰 틀의 도구 모듈을 이용하면 더 많은 객체, 함수 등을 파일로 쪼개서 외부로 독립시킬 수 있다. var M = { v: 'V', f: functon(){ console.log(this.v) } } module.exports = M; 모듈이 담겨져 있는 파일에 있는 여러 기능들 중에서 M이 가리키는 객체를 해당 모듈 바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exports 하겠다. var part = require('./mpart.js'); console.log(part); //모듈을 로딩한 결과를 part에 담았음 //part에는 객체가 들어있음 { v: 'V', f: [Function: f] } //객체에는 mo.. 2021. 8. 12.
[ NodeJS ] 동기, 비동기, 콜백 * 해당 포스터는 생활코딩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 [ synchronous & asynchronous ] synchronous( 동기적 ) : 오랫동안 처리돼야 하는 작업이 있더라도 작업이 완수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그 후에 처리 asynchronous( 비동기적 ) : 병렬적으로 동시에 여러가지 일을 처리 * NodeJS가 비동기적으로 처리를 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. readFile( path, [option], callback ) readFileSync( path, [option] ) Sync가 있으면 동기적인 방식으로 처리하는 명령이고 Sync가 없다면 비동기적으로 처리하는 명령어 * NodeJS는 비동기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선호 var f.. 2021. 8. 11.
[ NodeJS ] readdir + readFile * 해당 포스터는 생활코딩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 readdir 메소드는 파일이 있는 위치가 아니라 실행하는 파일의 위치를 기준으로해서 data라는 디렉토리의 경로를 testFolder에 적어준다. * filelist의 값은 형식이 배열이다. → nodejs는 어떤 특정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의 목록을 배열로 만들어서 전달한다. 특정 파일에서 파일을 읽어서 data라는 변수값을 생성해준다. 2021. 8. 10.
[ NodeJS ] 콘솔에서의 입력값 * 해당 포스터는 생활코딩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 parameter는 입력되는 정보의 형식이 있고 argument는 그 형식에 맞게 실제로 입력한 값이다.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url parameter를 통해서 입력 값을 주고 그 결과를 HTML, 콘솔에 output 하거나 파일에 저장한다. ( input과 output은 여러 가지가 존재한다. ) var args = process.argv; console.log(args); console.log('A'); console.log('B'); if(args[2] === '1'){ console.log('C1'); } else { console.log('C2'); } console.log('D'); /.. 2021. 8. 10.
[ NodeJS ] NodeJS의 파일 읽기 기능 ( CRUD ) CRUD ( Create, Read, Update, Delete ) : 정보를 다루는 핵심적인 처리 방법 ex) var fs = require('fs') fs.readFile('sample.txt', 'utf8',function(err,data){ console.log(data); } ); → fs 변수를 통해서 NodeJS의 모듈인 File System을 다룰 수 있음 2021. 8. 10.
[ NodeJS ] query String에 따라 다른 정보 보여주기 * 해당 포스터는 생활코딩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 var http = require('http'); var fs = require('fs'); var url = require('url'); var app = http.createServer(function(request,response){ var _url = request.url; var queryData = url.parse(_url, true).query; console.log(queryData.id); //console.log(queryData); //console.log(queryData.name); if(_url == '/'){ _url = '/index.html'; }.. 2021. 8. 10.
[ NodeJS ] 웹 서버 + URL * 해당 포스터는 생활코딩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 1.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웹 브라우저의 주소를 입력해서 요청을 하면 웹 서버는 그 요청에 따른 정보를 찾아서 응답해주는 관계에 있다. NodeJS는 Apache와 똑같이 웹 서버로 동작이 가능하다. ( 웹 서버 기능이 내장되어 있음 ) ① 127.0.0.1:3000 console.log(__dirname + url) → \Nodejs\memo\NodeJS/index.html 사용자가 요청할 때 마다 읽어야하는 파일을 만들어야 한다. ② response.end(fs.readFileSync(__dirname + url)); NodeJS가 경로에 해당하는 파일을 읽어서 그 값을 가져와서 response.end에 넣어준다. response.end에 어떤 .. 2021. 8. 10.
[ NodeJS ] cmd 사용 방법 * 해당 포스터는 생활코딩 강의를 정리한 내용입니다. node -v : 설치되어 있는 NodeJS의 버전 확인 ( 제대로 설치 되어있는지 확인 가능 ) cd : 디렉토리 이동 node xxx.js : js 파일 실행 ( ctrl + c 를 눌러서 실행 종료 ) * atom 텍스트 편집기 사용 ( emmet : HTML Tag 자동 완성 ) 2021. 8. 10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