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Back-End35

[ Django ] GCP 가상 서버 배포하기 1. Google Cloud Platform 사용 부팅 디스크 : Ubuntu 20.04 LTS * Python은 3.8.10으로 기본 내장이 되어있다. 2. SSH 터미널 설정 ① 패키지 업데이트 sudo apt-get update && sudo apt-get dist-upgrade ② pip 설치 sudo apt install python3-pip pip --version # 버전확인 ③ git clone 사용해서 Django 파일 불러오기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2CHAE-EUN/OpenSource_final.git ④ 파일 이동 ( git clone을 받아오면 자동으로 해당 clone에 대한 디렉토리가 생성되어 있다. ) cd OpenSource_final ⑤ 가상 환.. 2022. 6. 21.
[ Django ] 벼락치기 2일차 [ 템플릿 적용하기 ] 정적 파일 ( static files ) : 웹 페이지를 렌더링 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추가적인 파일 ex) css, js, PNG,FONT Django는 정적 파일을 관리해주는 디렉토리 구조가 정해져 있다. 1. {% load static %} 탬플릿 태그를 HTML 파일 맨 위에 작성 → static에 있는 정적 파일을 현재 이 템플릿 파일에서 사용한다고 알려주는 것 2. css 파일 사용하기 3. img 파일 사용하기 2022. 6. 21.
[ Django ] 벼락치기 1일차 Django Framework : 파이썬으로 작성된 가장 대표적인 웹 프레임워크 Framework : 틀, 뼈대 * 백엔드 : 웹 서버스의 동작과 논리적 처리를 담당하는 역할 pyenv : 파이썬 버전 설치, 관리 pyenv-virtualenv : 가상 환경을 구성, 파이썬 패키지 관리 윈도우 사용시 WSL 필요 → macOS 와 비슷한 개발 환경을 windows에서 만들 수 있다. * WSL( Windows Subsystem for Linux ) : windows에서 리눅스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확장 프로그램 global 가상환경 : 시스템 전역에 적용하는 환경 → global 가상환경을 적용하면 따로 지정해주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global 환경을 사용 local 가상환경 : 특정 디렉토리.. 2022. 6. 19.
[ Spring boot ] 스프링부트 데이터베이스 연동 ③ 프로젝트 생성 데이터베이스 모듈을 같이 선택해서 프로젝트를 만들 경우 Datasource에 대한 기본적인 setting이 되어 있어야 실행이 된다. 기본적인 환경 설정을 하고 시작해야한다. # Port server.port=8024 # thymeleaf spring.thymeleaf.prefix=classpath:templates/ spring.thymeleaf.suffix=.html spring.thymeleaf.check-template-location=true spring.thymeleaf.mode=HTML spring.thymeleaf.cache=false # DataSource spring.datasource.url= jdbc:mysql://localhost:3306/capstone?autoRe.. 2022. 5. 10.
[ Spring boot ] 스프링부트 데이터베이스 연동 ② UTF8 VS UTF8MB4 UTF8와 UTF8MB4의 차이는 emoji 문자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없는지 차이이다. UTF8로 charset을 셋팅하면 emoji 문자를 사용할 수 없다.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UTF8MB4 charset이 나오게 되었고, UTF8MB4로 셋팅하면 emoji 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. UTF8MB4는 MySQL, MariaDB에만 해당한다. ( 버전에 따라서 지원안할 수 도 있음 ) 셋팅 하는 법 : 테이블을 생성할 때 마지막에 CHARSET=UTF8MB4를 입력하면 된다. MySQL root 비밀번호 변경하는 법 MySQL root 비밀번호 변경은 ALTER를 사용한다. 1. 비밀번호와 최근 변경일 조회 SELECT host, user, authenticatio.. 2022. 5. 10.
[ Spring boot ] DTO 객체 및 폼과 뷰페이지 ③ DTO 객체와 타임리프를 이용한 뷰페이지 반복 출력 1. 여러 개의 객체를 생성하여 뷰페이지로 넘긴 후에 타임리프 반복문을 사용하여 반복 출력하기 객체 자체를 선언할 때는 ${객체}를 사용해야하고 객체 안에 있는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*{필드명}을 사용해야한다. 여러 개의 객체를 생성하고 리스트를 생성해서 모든 객체를 담아줘야한다. 단일 객체일 경우는 th:object를 해서 객체를 하나 받으면 되지만, 리스트 같이 거대한 바구니를 받을 경우에는 객체들을 각각 꺼내서 받아야하기 때문에 th:each를 사용해야한다. 객체의 수만큼 작성해야할 필요는 없음 내 지갑 정보 확인하기 전체 거래 금액 전체 금액 보유 KRW 1 1 1 package com.example.capstone.DTO; public cl.. 2022. 5. 8.
[ Spring boot ] DTO 객체 및 폼과 뷰페이지 ② Form에서 타임리프 문법 사용하기 1. form action을 타임리프 문법으로 사용하기 이메일 th:field 부분이 id="UserEmail" name="UserEmail" value 부분으로 들어가게 된다. label 작성시 for 값에는 타임리프 문법에서 사용한 변수 이름을 똑같이 사용하면 된다. *{}안에는 별도의 공백이나 여분이 있으면 안된다. 컨트롤러쪽에서는 Form 페이지쪽으로 signUpDTO 객체를 반드시 넘겨줘야한다. @GetMapping("/SignUpForm") public String signUpPage(Model model){ model.addAttribute("singUpDTO", new SignUpDTO() ); //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SignUpDTO.java 파.. 2022. 5. 8.
[ Spring boot ] DTO 객체 및 폼과 뷰페이지 ① 스프링 부트 프레임워크에서 객체를 전달하는 방법 기본적으로 웹 개발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값을 주고 받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작업이자 중요한 작업이다. 예를 들면 값을 전송시,Form 형태에서 Post, Get 방식이 있고, Ajax, 링크, JSON 형태로 넘길 수 있다. 이때, 전달되는 파라미터 값이 많다면 객체(DTO)를 만들어서 한번에 받는 것이 좋다. * DTO : Data Transfer Object 데이터를 전송하면 Object가 되고 그 Object를 가지고 뷰 페이지단에서 출력해서 시용할 수 있다. 1. 4개의 파일 생성 2. 회원 가입 창 signUpFrom.html 작성하기 가상화폐 모의투자 이메일 비밀번호 비밀번호 확인 이름 가입하기 3. SignUpController 작성 pac.. 2022. 5. 7.
[ Spring boot ] Spring boot 프레임워크 ③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차이와 스프링 부트에서의 처리 방식 Get과 Post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서 서버에 어떤 값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방식의 종류이다. ( 어떻게 전달하냐에 차이가 존재한다. ) URL에 파라미터 값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면 Get 방식이고, Post 방식은 URL에 파라미터 정보가 보이지 않는다. 그 이유는 데이터가 Request Body에 포함되서 전달되기 때문에 파라미터가 노출되지 않는다. 1.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특징과 장단점 ⓐ 기본적으로 Get 방식은 조회 이용시 많이 사용되고, Post 방식은 입력(생성), 수정, 삭제 시 많이 사용된다. → 검색의 주소 결과나 링크로써 사용되는 경우라면 Get 방식이 많다. → URL에 파라미터 정보가 노출되고 당연히.. 2022. 5. 2.